랜섬웨어 대응 방안
페이지 정보
본문
"모의해킹 · 보안취약점진단 · 정보보호컨설팅" 전문기업 『라스컴 시큐리티』 www.lassecu.com T:1522-3863 secu@lascom.co.kr
안녕하세요 라스컴 시큐리티입니다.
오늘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랜섬웨어에 대해 깊이 알아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안내드리겠습니다.
랜섬웨어는 악의적인 소프트웨어로, 주로 피싱 이메일, 악성 웹사이트, 또는 보안 취약점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합니다.
침투 이후로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복구하기 위해 금전을 요구하는 형태로 작동합니다.
랜섬웨어의 역사와 진화
랜섬웨어는 처음 등장한 이후 계속해서 진화해왔습니다.
초기의 랜섬웨어는 주로 사용자 파일을 암호화하고 금전을 요구하는 단순한 형태였으나, 더 정교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랜섬웨어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위협하며, 기업의 평판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Ransomware-as-a-Service(RaaS)라는 형태가 등장하여, 기술력이 부족한 공격자도 쉽게 랜섬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랜섬웨어의 동작 원리
랜섬웨어는 주로 사용자가 악성 링크나 첨부파일을 클릭하는 순간 시스템에 침투합니다.
일단 설치되면, 랜섬웨어는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암호화하고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냅니다.
이 메시지에는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하는 대가로 일정 금액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랜섬웨어 공격자는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 화폐를 요구하여 추적을 피합니다.
랜섬웨어의 유형
- 암호화 랜섬웨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접근을 차단합니다.
- 잠금 랜섬웨어: 시스템을 완전히 잠가 사용자 접근을 차단합니다.
- 스케어웨어: 가짜 경고 메시지로 사용자를 속여 금전을 요구합니다.
- 도밍 랜섬웨어: 사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민감한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위협하여 금전을 요구합니다.
랜섬웨어 대응 방안
랜섬웨어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정기적인 데이터 백업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외부 저장 장치나 클라우드에 백업하면, 랜섬웨어 공격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여러 장소에 분산 저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안전한 이메일 사용
피싱 이메일을 통해 랜섬웨어가 유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첨부파일을 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악성 이메일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3) 보안 소프트웨어 사용
최신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악성 소프트웨어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랜섬웨어를 탐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전문 보안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4) 네트워크 방화벽 및 침입 방지 시스템(IPS) 설치
네트워크 방화벽과 침입 방지 시스템을 도입하여 랜섬웨어의 초기 침입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보안 패치 적용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의 보안 패치를 정기적으로 적용하여,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활성화하여 최신 보안 패치를 신속하게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임직원 교육
임직원들에게 랜섬웨어의 위험성과 대응 방법에 대해 교육하여, 랜섬웨어 공격의 첫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교육 내용에는 안전한 인터넷 사용 방법, 피싱 이메일 인식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정기적인 정보보호 모의훈련을 통해 직원들의 보안 의식을 높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7) 긴급 대응 계획 수립
랜섬웨어 공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긴급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시뮬레이션 훈련을 실시합니다.
대응 계획에는 데이터 복구 절차, 대응팀 구성,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사례 연구: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1년 세계적 IT 기업인 Kaseya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전 세계 수천 개의 기업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Kaseya는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소프트웨어 관리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는 중앙 집중형으로 관리되고 있었는데, 공격자들은 이를 악용하여 중앙 배포 시스템을 해킹한 뒤 랜섬웨어를 배포하였습니다.
이 공격으로 인해 수백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고객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랜섬웨어는 정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사이버 위협이기에 사전에 철저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안내한 방안이 랜섬웨어로부터 조직과 시스템을 보호하고, 안전한 IT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가 필요하실 때 라스컴 시큐리티로 문의 주시면
친절하고 상세하게 안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모의해킹 · 취약점진단 · 정보보호컨설팅
- 다음글정보보호 관점의 양자 컴퓨팅 25.01.07